컴퓨터/network

네트워크 암기 노트

김크리 2020. 10. 6. 22:20

네트워크 기본 개념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신뢰성 있게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서 정보의 송/수신자측 또는 네트워크 내에서 사전에 약속된 규약 또는 규범이다.

 

구성요소

 프로토콜 

  - 물리적 정의 :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 매체, 접속용 커넥터 및 전송 신호 등 물리적 요소에 관한 규약이다.

  - 논리적 정의 : 데이터의 표현 형식 단위인 프레임(Frame)의 구성이며, 프레임 내의 각 항목의 의미와 기능, 데이터 전송의 절차 등을 말한다.

프로토콜
구문(Syntax)
데이터의 구조나 형식을 가리키며,
데이터가 표현되는 순서를 의미한다.
의미(Semantics)
비트의 영역별 의미를 나타낸다.
타이밍(Timing)
데이터를 얼마나 빠른 속도로 전송할 것인가를 나타낸다.

연결 유형(Type of connections)

 점-대-점(point-to-point connection)

두 장치 간의 전용 링크를 제공한다. 채널의 전체 용량은 두 기기 간의 전송을 위해서만 사용된다. 

 다중점(multiport)

3개 이상의 특정 기기가 하나의 링크를 공유하는 방식이다.

물리적 접속형태(Physical topology)

물리적 혹은 논리적인 네트워크 배치 방식을 말한다.

 

 그물형 접속형태(Mesh topology)

- 모든 정치는 다른 장치에 대해 전용의 점-대-점 링크를 갖는다.

- n(n-1)/2개의 전이중 모드 링크가 필요하다. ( 네트워크 상의 모든 장치가 n-1개의 입출력 포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완전 메시(full mesh) 토폴로지에서 모든 노드는 다른 모든 노드와 연경되며 이는 높은 수준의 이중화를 제공한다.

- 부분 메시(partial mesh) 토폴로지에서는 모든 노드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 인터넷은 부분 메시 토폴로지의 한 예이다.

 

 스타형(성형) 접속형태(Star topology)

- 허브(hub)라는 중앙 제어장치와 전용 점-대-점 링크를 갖는다.

- 각 장치는 직접 연경되어 있지 않다.

- 제어장치가 장치간 교환 역할을 한다.

 

 버스형 접속형태(Bus topology)

- 다중점의 형태이다.

- 하나의 긴 케이블이 네트워크 상의 모든 장치를 연결하는 백본(backbone) 네트워크 역할을 한다.

- 노드는 탭(tap)과 유도선(drop line)에 의해 버스가 연결된다.

 

 링형 접속형태(Ring topology)

- 각 장치는 자신의 양쪽 장치와 전용으로 점-대-점 연결을 이룬다.

- 신호는 링을 따라 한 방향으로만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전송된다.

- 링형 네트워크에 있는 각 장치는 중계기(repeater)를 포함한다.

- 다른 기기가 보낸 신호를 받으면 중계기는 이를 재생하여 전달한다.

  그물형 스타형(성형) 버스형 링형
장점 높은 안전성
통신량 문제 해결
전용선 사용으로 보안 향상
그물형보다 적은 비용
각 장치는 다른 장치와의 연결을 위해 1개의 링크와 1개의 I/O포트만 필요
쉬운 설치와 재구성
확장 용이
쉬운 설치
토폴로지 중 가장 적은 양의 케이블 사용
쉬운 설치와 재구성
쉬운 장애 호스트 파악
단점 케이블 양
,요구되는 I/O 포트 수
접속 형태가 허브라는 단일 장치에 좌우
허브가 망가지면 전체 고장
어려운 재구성과 결합 분리 단방향 전송
링의 결함 시, 전체 네트워크 사용 불가

 

OSI 모델

네트워크 통신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는 ISO 표준은 개방시스템 상호연결(OSI, Open System Interconnection)모델이다.

계층 데이터 종류 특징  
응용(application) 메시지 FTP, SNMP, SMTP, Telnet, HTTP, DNS, DHCP, 게이트웨이 응용서비스 제공
네트워크 관리
사용자 지원
표현(presentation) ASCII, jpg, MIME 네트워크 보안(암/복호화)
압축/압축해제, 포멧 변환 수행
세션(session) 전송모드 결정(반이중, 전이중), SQL, RPC 소켓 프로그램
동기화
세션 연결/관리/종료
전송(transport) 세그먼트 TCP, UDP 데이터 전송보장
흐름제어
Quality Of Service(QOS)
계층 연결 및 형태 보장
네트워크(network) 패킷 IP, ICMP, IGMP,IPsec, ARP, RAPR, NAT, RIP, BGP, 라우터 통신경로 설정, 중계기능 담당
라우팅
IPv4 & IPv6
물리적 처리
데이터링크(data link) 프레임 이더넷, 토큰링, PPP, 802.11(WLAN), 스위치, 브릿지 오류제어, Frame화
매체 제어(MAC)
에러검출, 에러정정, 흐름제어
물리(physical) 비트 스트림 기계적, 전기적, 절차적 규격, NIC, 중계기, 허브 물리적 연결설정/해제
전송방식, 전송매체

 NIC(Network Interface Card)

- PC 를 LAN(Local Area Network)에 연결시키는 역할


 스위치

- PC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확대시키기 위한 장비

- 허브와 달리 연결된 PC에 LAN이 제공하는 대역폭을 연결된 PC의 대수와 관계없이 전달

- 가상 랜(Virtual LAN) 지원

 

 브릿지

-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비

-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읽어 전송

 

이더넷(Ethernet)

- LAN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술 규격

- OSI 모델의 물리 계층에서 신호와 배선, 데이터 링크 게층에서  MAC 패킷과 프로토콜 형식을 정의

- IEEE802.3 규약으로 표준화 

- 48 비트 길이의 MAC 주소를 가지고 상호간 데이터 교환 가능

- CSMA/CD(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및 충돌 탐지) 기술을 사용하여, 하나의 전송 매체를 공유

 

토큰링

- 토큰을 가진 PC만이 네트워크에 데이터 전달

- 단방향

- 충돌이 발생하지 않고, 성능 예측 쉬움

 

 라우터

- LAN을 외부와 연경시키는 역할

- 흔히 아는 공유기와 유사

 

 IP(Internet Protocol)

- 비 커넥션형 프로토콜로, 전송 계층의 UDP와 유사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네트워크 층의 신뢰성 보완을 위한 프로토콜

- 오류 메시지를 전송 받음

- 오류들은 원래 패킷의 소스 IP 주소로 보내진다.

- 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ICMP 메시지 전달

- ping, tracert 명령어를 통해 호스트 동작 파악 및 라우팅 경로 추적

Type Code Checksum
ICMP message (Type에 따라 가변적)

 

 게이트웨이

- 흔히 아는 공유기

- 라우터 처럼 네트워크를 이어주는 역할

-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이어주는 역할

TCP/IP 

TCP/IP는 현재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데 쓰이는 통신규약의 모음이다.

하드웨어, 운영체제, 접속매체에 관계없이 동작할 수 있는 개방성을 가진다.

계층 특징
응용(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이 네트워크에 접근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
전송(transport)   종단간 통신 서비스 제공
TCP, UDP 프로토콜 존재
네트워크(IP, Network)   IP는 호스트 네트워크 주소를 관리하고, 패킷을 라우팅하는 역할을 수행
APR는 네트워크 호스트들의 하드웨어 주소를 얻는데 사용
ICMP는 패킷 전송에 관한 오류 메시지의 처리 담당
데이터링크(data linke)   전송 매체에 프레임을 송수신
물리(physical)